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의 실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30 00:47
본문
Download :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의 실제.hwp
Ⅰ. 국어과 심화·보충형 교육과정 편성·운영
- 1, 2학년 중심으로
1. 국어과의 성격
국어교육의 ‘성격규정’은 국어교육의 본질과도 유관하며, 국어 교육의 目標(목표), 내용(내용 체계, 학년별 내용), 방법, 평가와도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사항이다. 그런데 7차 교육 과정에서는 국어교육의 본질요건을 ‘창의적인 국어사용 능력’ 측면에 비중을 두고, 이를 ‘국어 culture의 창조’에까지 발전시키도록 성격을 규정하였다.
먼저. 10년(국민공통기본) 교육 기간을 하나의 단위로 보아 초등 학교, 중학교, 고등 학교의 학교급 차이를 두지 않았다. 그리고 확대되는 관점에 따라 도구 교과적 성격, 민족 교육의 성격, culture 교과적 성격 등 어느 한 면을 강조하게 되기도 한다.
둘째로,…(drop)
설명
순서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의 실제
장학자료2권222 ,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의 실제사범교육레포트 ,
,사범교육,레포트
장학data(자료)2권222
Download :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의 실제.hwp( 32 )
레포트/사범교육
다.
이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국어교육 상황에서 학생들이 반드시 ‘알아야 할 것(content)’으로서의 ‘내용’은 언어 기능, 언어, 문학에 관한 지식이고, ‘할 수 있어야 하는 것(performance)’은 지식을 학습함으로써 학생이 ‘수행’해야 할 국어사용 능력이 균형을 이루도록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그리하여 국어 교과의 ‘성격’을 다음과 같은 관점에서 규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