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동과 타동 언어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7-07 23:16
본문
Download : 사동과 타동 언어연구.hwp
따라서 타동사의 경우에는 대상에게 직접적인 작용을 하기 때문에 대상의 자발적인 의지를 고려할 여지가 없는 반면에, 사동사의 경우에는 시킴을 받는 피사동주의 의지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인문사회,레포트
2. 타동과 사동의 concept(개념)
‘용언 어근 + -이,히,리,기,우,구,추-’의 구성이 타동사인가 사동사인가를 밝히기 위해서는 먼저 ‘타동’과 ‘사동’의 concept(개념)부터 명확히 규정할 필요가 있따 ‘타동’과 ‘사동’의 concept(개념)은 ‘자동, 주동, 능동, 피동’의 관계 속에서 파악될 수 있따
(2) 자동 <____> 타동, 주동 <____> 사동,
능동 <____> 피동
즉, ‘타동’은 ‘자동’의 대가 되는 concept(개념)이고, ‘사동’은 ‘주동’의 대가 되는 concept(개념)으로 파악하고 있따
주지하다시피 ‘자동(intrasitive)’은 목적어를 취하지 못하는 서술어를 가리키며, ‘타동(transitive)’은 직접목적어를 취하는 서술어를 가리킨다.
설명
순서
Download : 사동과 타동 언어연구.hwp( 84 )
사동과타동언어연구
사동과 타동 언어연구에 대한 글입니다.
사동의 concept(개념)을 규정한 기존 연구 중에서 최현배(1980)에서는 “하임움직씨라…(skip)
레포트/인문사회
사동과 타동 언어연구에 대한 글입니다. 반면에 ‘주동’은 행위자가 직접 행동하는 것을 나타내고, ‘사동(causative)’은 사동주(causer)가 피사동주(causee)로 하여금 어떤 행위를 하게끔 하는 것을 뜻한다.사동과타동언어연구 , 사동과 타동 언어연구인문사회레포트 ,






사동과 타동 언어연구
다.